
왜 역류성식도염 걸렸을까?
1. 역류성식도염 발생 원인
(1) 근본 원인은 하부 식도괄약근이 닫히지 않는 것 입니다.
☞ 소화불량 증상과 함께 발생 합니다.(체증, 트림, 소화장애 등)
(2)가중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.
☞ 코르셋근육이 허약해서 명치부위가 숙여지는 경우 - 앉아있거나 서 있을 때에도 역류 함.
☞ 복부비만으로 위장을 압박하는 경우-식후 또는 눕거나 등을 기대고 있을 때에 역류 함.
2. 왜 하부 식도괄약근이 닫히지 않을까요?
(1) 과민성대장증후군(단백질 결핍)의 영향
☞ 단백질 결핍이 되면, 뱃속근육이 함께 허약해집니다.
☞ 역류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위 소화기능도 부실합니다.
(2)노후 근손실의 영향
☞ 근손실은 소화기관(위,소장,대장)부터 시작합니다.
☞ 위 연동근육과 하부 식도괄약근도 함께 약해집니다.
☞ 역류가 시작되면, 입맛이 없어지고, 근손실은 더 빨라집니다.
(3)과식과 복부비만의 영향
☞ 과식으로 위가 커지면, 식도괄약근도 함께 늘어나서 닫히지 않습니다.
☞ 내장지방이 증가하면, 위를 압박하여서 내용물이 역류하게 됩니다.
(4)잦은 다이어트의 영향
☞ 금식, 단식, 편식, 대용식 등으로 단백질 결핍이 되면, 위 연동근육과 식도괄약근이 얇아짐.
3.역류성식도염 증상
- 울컥하고 무언가 올라오는 것이 대표적 증상.
- 수면 중에 미세한 역류를 느끼지 못하지만, 쉰 목소리가 남.
- 항상 속이 쓰리고 가슴이 답답함.
- 트림을 자주 하고 신물이 넘어옴.
-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안됨.
- 기침이 잦고 쉰 목소리가 남.
- 가슴이 답답하고 통증이 있음.
- 헛기침, 만성 기침, 가래가 붙어 있는 느낌.
- 쉰 목소리, 끌끌한 목소리.
- 목에 무언가 달라붙은 것 같은 이물감,
- 흉통, 가슴이 불타는 것 같은 통증.
- 기관지 천식처럼 헉헉대는 기침.
4. 바렛식도(Barrett's esophagus )
(1)바렛식도 란?
☞ 위와 연결된 하부 식도괄약근의 끝 부분이 늘어나서 위 상부가 되고,
☞ 늘어난 곳의 조직이 변하여서 식도암의 원인이 됩니다.
☞ 이렇게 늘어난 식도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'바렛식도' 라고 부릅니다.
(2)바렛식도가 되는 과정
☞ 위 연동근육과 식도괄약근이 함께 허약해집니다.
☞ 위와 연결된 식도괄약근의 끝 부위가 늘어나서, 위 상부가 됩니다.
☞ 위산이 솟구쳐서 늘어진 식도에 화상을 입힙니다.
☞ 지속적으로 화상으로 식도조직이 변하여서 식도암의 원인이 됩니다.
(3)바렛식도를 예방하려면?
☞ 위 연동근육과 식도괄약근을 튼튼하게 만들어야 합니다.
☞ 동시에 코르셋근육을 튼튼하게 만들면 위가 줄어듭니다.
☞ 연동근육과 식도괄약근, 코르셋근육은 뱃속근육운동기 베노꼬로 동시에 튼튼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.
☞ 역류, 과민성대장증후군에 걸린 분이 일반적인 운동을 하면 더 심해집니다.
5.역류를 방치하면?
- 식도궤양,협착,바렛식도,식도의 선암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.
- 식도협착증은 식도염 상처가 오랫동안 반복되어서 굳은살이 쌓여 식도가 좁아지는 현상.
- 경증의 역류성식도염이나 비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중 일부는 바렛식도 라는 합병증을 만듭니다.
- 바렛식도는 이형성 단계를 거쳐 한국의 경우 연 0.22%의 비율로 암이 됩니다.
- 심한 식도염을 수 년 간 방치하면 식도암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.
6.역류성식도염 발병나이
- 소아에서 노인층 모든 연령에서 역류성식도염이 발생 합니다.☞ 뱃속근육이 허약하기 때문
- 젊은 직장인 층에도 역류성식도염에 많이 발생합니다. ☞ 복부비만, 내장지방 증가
- 특히 노년층은 근손실로 인해서 역류성식도염에 걸립니다.☞ 잦은 기침, 쉰 목소리, 역류성후두염, 인두염 등
7. 역류성식도염 재발원인
- 치료하는 약은 식도염증 치료약과 위산중화제나 억제제 이며, 위산역류를 막지는 못합니다.
- 약으로 위산 분비를 줄이거나 위산을 중화시키면, 소화불량이 발생시킵니다..
- 약을 끊으면 위산 분비가 다시 원복되므로, 재발하게 됩니다.
- 약물로 증상을 호전시켜도, 약을 끊으면 1년 이내에 60%가 재발 합니다.

☞ '하부 식도괄약근'을 닫아주는 약은 없습니다.
☞ 하부 식도괄약근은 가슴뼈 아래에 있으며, 베노꼬를 사용해야 발달 합니다.
☞ 하부 식도괄약근은 위 연동근육과 함께 발달 합니다. (소화불량이 사라짐)
6. 하부 식도괄약근을 튼튼하게 만드는 방법

어떻게 하부 식도괄약근을 튼튼하게 만들까?
1. 베노꼬를 해야 발달해요.
- 하부식도괄약근을 튼튼하게 만드는 음식, 약초, 건강식품, 약품은 없습니다.
- 하부 식도괄약근은 위 연동근육과 함께 발달 합니다.
- 위 연동근육은 베노꼬를 사용하면 빨리, 잘 발달합니다. (1주일 이내에 발달해요)
2. 다른 운동은 중지하세요.
- 팔 다리를 사용하는 운동을 하면, 에너지 소비가 많아서 뱃속근육이 발달하지 않습니다/
- 그러므로 베노꼬 운동 이외에 다른 모든 운동은 중지해야 합니다.
- 베노꼬 운동과 다른 운동을 병행하면 증상이 개선되지 않습니다.
3. 반드시 베노꼬 운동시간을 지키세요.
- 베노꼬 운동은 하루에 1번(가능하면 아침 식사 전)에 하셔야 합니다.
- 베노꼬 운동을 많이, 여러 번 한다 고 해서 역류가 빨리 멈추지 않습니다.
- 베노꼬 운동시간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.
- 베노꼬 운동시간이 길어지면 식도괄약근이 더 약해질 수 있습니다.
- 베노꼬 운동시간
☞ 허약자, 노약자, 청소년 저체중자 - 15번만 실시 (배가 내려갔다 올라가는 것이 1번)
☞ 성인 저체중자 - 3분간
☞ 보통체중자, 비만자 - 5분간 (비만자는 5분 운동으로 역류가 멈춘 후에 시간을 늘려서 뱃살을 빼세요.)

운동과잉이란?
베노꼬 운동을 여러 번, 오래 하는 것을 말 합니다.
베노꼬 운동과 다른 운동을 병행하는 것을 말합니다.
운동과잉이면, 오전에 증상이 호전, 오후에 나빠집니다.
단백질 음식을 꼭 챙겨서 먹으세요.
☞ 가벼운 스트레칭, 요가, 30분 이내의 가벼운 산책은 해도 됨.
☞ 단백질 1일섭취량은 자신의 체중숫자+g (체중50Kg이면, 50g 임)
☞ 단백질 함유 음식섭취 : 육류, 생선류, 계란류, 콩이나 콩류